[AutoML] MS Azure AutoML 튜토리얼 (2)
Microsoft Azure에서 제공하는 기계학습 모델 개발 자동화 프로세스인 AutoML의 튜토리얼
이전 글에서 AutoML을 활용하여 간단한 분류 모델을 학습시켜보았다. 이 글에서는 학습이 완료된 모델을 분석해보겠다.
모델 분석
학습이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상태가 완료됨
으로 바뀌고, 소요된 시간도 알 수 있다.
상단의 모델 탭으로 이동하면 앞서 메트릭으로 선택했던 AUC 가중치가 큰 순서대로 모델이 표시된다.
모델의 알고리즘 이름을 선택하면 세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름을 통해 몇 번째로 시도한 모델인지 알 수 있고, 소요 시간도 표시된다. 학습 시 설정하지 않았던 다른 메트릭에 대한 결과도 제공한다.
메트릭 탭을 선택하면 여러 메트릭에 대한 결과 그래프를 볼 수 있다.
학습 시 설정한 메트릭은 물론이고, 세부 정보 탭에서 봤던 다른 메트릭에 대한 결과도 확인할 수가 있다. confusion_matrix를 선택하여 살펴보겠다. confusion marix는 우리말로 오차 행렬이라 하는데, 각 정답 클래스에 대해 모델이 어느 클래스로 예측했는지를 나타낸다. 아래를 보면 정답이 ‘No’인 데이터는 거의 다 올바르게 예측했지만, 정답이 ‘Yes’인 데이터는 절반을 겨우 넘긴 정도만 올바르게 예측했음을 알 수 있다.
confusion matrix 이외에도 많은 메트릭을 제공하고 있으니 필요에 따라 활용할 수 있을 것 같다.
다시 모델 탭으로 이동하면 설명이 없는 알고리즘들이 많이 있을 것이다. 궁금한 알고리즘에 대하여 직접 모델 설명을 생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알고리즘을 선택 후 상단의 모델 설명 클릭
- 생성했던 컴퓨팅 클러스터 선택 후 만들기
만들기를 누른 후 자식 실행 탭을 눌러보면 설명 생성이 실행되는 상태를 볼 수 있다.
1~2분 정도면 설명 생성이 완료된다. 그 후에 설명(미리 보기) 탭으로 이동하면 설명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설명 ID를 클릭하면 모델 성능, 데이터 세트 탐색기, 기능 중요도 집계, Individual feature importance 탭이 나타난다. 각 탭을 눌러 모델의 성능이나 어떤 feature들이 작업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는지 확인할 수 있다.
모델 배포
AutoML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최적 모델을 웹 서비스로 배포할 수 있다. 우선 화면 상단의 실행 1을 클릭한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최적의 모델 요약 항목이 있을 것이다. 해당 항목에 나타난 알고리즘을 선택하여 모델별 페이지로 이동한다.
왼쪽 상단의 배포 버튼을 누른 후 아래와 같이 작성한다. 작성이 완료되면 하단의 배포 버튼을 클릭하여 배포를 시작한다.
배포 버튼을 클릭하면 상단에 녹색으로 성공 메시지가 출력되고, 모델 요약 항목 하단에 배포 상태가 표시된다. 새로고침을 통해서 상태를 업데이트 할 수 있는데, 배포에는 약 20분 정도 소요된다고 한다.
웹 서비스에서 모델을 활용하는 방법은 이 글에서 소개할 범위를 넘어, 공식 설명 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모델 다운로드
모델을 웹 서비스로 배포할 수도 있지만, 직접 다운로드 기능도 제공한다. 배포 바로 옆에 있는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면 매우 빠르게 다운이 완료된다. 다운로드 받은 알집 파일의 압축을 풀면 아래와 같은 파일들이 들어있다.
학습시킨 모델이 담겨져있는 model.pkl
파일이 있고, 예제로 보이는 scoring_file_v_1_0_0.py
파일이 존재한다. model.pkl
파일을 load하여 살펴보려 했으나, python 환경에서 파일을 사용하려면 결국 azureml
모듈의 설치가 필요하다며 ModuleNotFoundError가 뜬다. 이전 글과 이 글에서는 직접 코딩을 하지 않고 기계학습을 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튜토리얼을 진행했는데, 모델을 학습시킨 후 웹이 아닌 로컬 환경에서 활용하려면 결국엔 관련 모듈들을 설치하고 코딩을 피할 수 없는 것 같다. 모듈을 설치하여 직접 살펴보는 것은 이 튜토리얼의 범위를 벗어나므로 python으로 AutoML 활용하는 설명서를 링크하는 것으로 대체한다.
이렇게 학습시킨 모델을 분석하고, 최적의 모델을 찾아 배포하거나 다운로드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인터페이스를 활용해 직접 코딩을 하지 않고 몇가지 설정만을 통해서 기계학습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는 참 편리한 것 같다. 하지만 인터페이스를 활용하더라도 데이터 전처리는 직접 해야 하고, 학습시킨 모델을 직접 활용하려면 결국엔 코딩을 해야 하여 장점이 많이 사라지는 것 같다. 그래도 비전공자나 관심있는 일반인이 간단하게 기계학습을 다뤄보거나, 직접 모델을 분석할 필요 없이 바로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입장에서는 아주 편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다. 공식 설명서를 보면 인터페이스가 아니더라도 Python 코딩을 통해서 기계학습을 쉽게 해주는 서비스들이 있는 것 같은데, 차차 살펴보고 좋은 것이 있으면 공유하도록 하겠다.